골반울혈증후군 Pelvic Congestion Syndrome
골반울혈증후군이란?
평생 동안 모든 여성의 1/3은 만성적인 골반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만성 골반통증이란 뚜렷한 이유 없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비주기적인 통증을 말하는데 하루 중 오후나 저녁 - 피곤하거나 오래 서있을 때 심해지며 생리중, 성교중 혹은 성교후에 발생하는 아랫배의 통증과 방광의 과자극, 그리고 외음부에 부풀어 오른 혈관 (정맥)들이 보이면 골반울혈증후군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보통 임신을 경험한 중년 여성들에게 많이 관찰되며, 만성골반통증이 있는 여성의 약 30~40%에서 골반울혈증후군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골반울혈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
골반울혈증후군은 골반에 있는 정맥혈이 심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거나 역류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골반에 있는 정맥에는 혈액을 심장으로 보내기 위한 판막이 있는데. 어떤 원인에 의하여 판막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여 판막 부전이 발생하면 혈액이 골반에 있는 정맥에 정체되어 있거나 골반으로 역류하여 골반에 있는 정맥의 압력이 높아 지고 정맥이 늘어 나서 만성 골반통을 일으키게 됩니다.
골반울혈증후군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보통 아랫배와 허리 쪽으로 지속되는 통증이 나타나는데 오래 서있거나 피곤할 때 심해지며, 생리통이나 성교통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밖에 방광의 과자극으로 소변이 잦아지고 비정상적인 생리혈과 질분비물의 과다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골반울혈증후군의 진단과 치료는?
부인과적 진찰과 초음파, CT, MRI 등으로 만성 골반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비정상적으로 늘어나있는 난소, 골반정맥들이 보일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후 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난소정맥 촬영술로 확진하게 되며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골반울혈증후군의 인터벤션 치료방법은 첫째, 투시장비를 이용하여 정맥 조영술을 시행하는데, 정맥 조영술은 서혜부 (사타구니)의 온대퇴정맥(Common femoral vein)에 2mm 내외의 구멍을 만들고 이를 통하여 2mm 미만의 미세한 관(카테터)을 골반의 정맥까지 집어 넣은 후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투시영상을 통하여 골반울혈증후군을 진단합니다. 치료는 삽입한 카테터를 통하여 코일이나 혈관 경화제를 주입하여 혈액이 골반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개념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만성 골반통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Figure 1.골반울혈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삼차원 CT 영상. 좌측 신장정맥과 연결되는 골반정맥의 울혈이 보인다 |
![]() |
Figure 2.정맥조영술(좌)에서 골반의 정맥이 울혈된 소견이 보인다. 색전술을 시행하고 난 후에 골반정맥으로 혈류가 차단된 모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