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메뉴
Login
Join
Contact Us
ENGLISH
메뉴 열기 메뉴 닫기

다리동맥협착병 인터벤션   PAOD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intervention


다리동맥협착병이란?

  혈관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의 노폐물이 쌓여서 내강의 좁아지고 혈관벽이 딱딱해지는 것을 동맥경화라고 합니다. 이 동맥경화는 전신적인 질환이라서 심장동맥이나 뇌동맥뿐 아니라 팔 다리로 피를 보내는 동맥에도 생깁니다. 이 동맥경화에 의하여 다리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혈액순환의 장애가 생기는 병을 다리동맥협착병이라 합니다.


Figure 1. 동맥경화

동맥경화가 진해행되면 혈관내벽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상대적으로 내강은 줄어드는 동맥협착이 생긴다.

다리동맥협착병이 발생시 있을 수 있는 증상은?

  가장 흔한 증상은 다리를 사용하여 걸으면 종아리나 허벅지, 또는 엉덩이 부분이 조이듯이 아파지고, 제자리에서 멈춰 쉬면 아픈 증상이 가라앉는 간헐적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이 생깁니다. 이는 다리 근육이 필요한 만큼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여 생기는 현상입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운동시 종아리가 멍멍해지고 저리는 느낌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다리가 저리거나 발이 타는 듯이 아프고, 더 심해지면 발과 다리가 항상 차갑고 다리의 털이 소실되면 피부에 궤양이 생기게 됩니다. 더 심해지면 발이 완전히 썩게 되어 다리의 절단이 필요하게 됩니다.


다리동맥협착병은 어떤 사람에게서 잘 생기나요? 검사가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가요?

  먼저 발목동맥의 혈압을 재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발목동맥혈압은 발목에 압박대를 감고 가압후 감압하면서 발등이나 발꿈치의 혈류를 체크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발목동맥 혈압이 팔동맥 혈압보다 낮으면 다리로 가는 혈관에 좁아진 부분이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다음으로는 조영제 정맥주사를 맞고 CT를 시행하여 다리동맥을 3차원 영상으로 자세히 볼 수 있게 하는 CT혈관조영이 있습니다. CT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MRI를 이용하여 역시 혈관을 3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MR혈관조영이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들은 간단한 정맥주사만 맞으면 되므로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으며 영상의학과로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와 함께 일정을 잡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다리동맥에 카테터라는 가는 관을 삽입하여 몸속의 모든 혈관을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는 혈관조영술이 있습니다. 이 검사 또한 수술적 절개는 필요하지 않고, 1~2mm직경의 가는 관을 바늘을 이용하여 삽입하면 되므로 크게 아프지 않습니다. 혈관조영술은 영상의학과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리동맥협착병은 약으로 치료됩니까?

  증상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먼저 생활습관변화와 약으로 치료해 볼 수 있습니다. 병의 진행을 막기 위한 생활습관으로는 저지방식, 정기적 운동, 금연, 다리와 발의 청결유지가 필요한데 그 중에서 금연이 가장 중요합니다. 담배는 다리동맥협착병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병의 진행을 막고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약으로는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 혈압조절제, 혈관확장제등이 있습니다.


다리동맥협착병이 약으로 치료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수술해야 합니까?

  바로 수술할 필요는 없습니다. 혈관조영술 및 풍선확장술 등으로 2-3mm정도의 가느다란 풍선내장관을 혈관 내로 삽입하여 좁아지거나 막힌 다리동맥을 넓히거나 개통시키는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런 치료법을 경피적 혈관성형이라 합니다.

  또한 비슷한 방식으로 스텐트라는 혈관의 뼈대역할을 할 수 있는 특수금속망이 내장된 가는 관을 이용하여 좁거나 막힌 동맥을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조혈관이 부착된 스텐트를 이용하여 수술 없이도 인조혈관을 연결하는 시술도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약물 코팅 풍선(drug coated balloon; DCB), 약물방출 스텐트(drug eluting stent; DES) 등의 치료 전에 “혈관 준비”라는 개념의 중요성이 주목받게 되었으며(Figure. 2), 죽종절제술 기구를 이용하여 석회화 plaque를 용적감소(debulk) 시키고 혈관 내에는 어떠한 영구 인공 구조물도 남기지 않는 치료 전략이 대두되게 되었다. (1)


Figure 2. 죽종절제술 및 약물방출풍선 혈관성형술 (1)

A, B. 석회화된 조직을 죽종절제술 기구를 사용하여 절제해낸다. 이를 혈관 준비라 한다.
C, D. 이후 풍선혈관성형술을 시행하고 뒤이어 약물방출풍선으로 혈관성형술을 추가로 시행한다. 이때 혈관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데, 혈류의 흐름을 방해할 정도의 혈관박리가 동반된다면 추가적인 스텐트 설치가 요구된다.

다리동맥협착병에 관한 문의는 어떻게 합니까?

  다리동맥질환의 경피적혈관성형과 스텐트치료는 인터벤션영상의학과에서 담당하고 있으므로 이쪽으로 문의하시면 바로 친절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 주기적으로 진료받고 계시는 과로 문의하셔도 쉽게 연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1. J Korean Soc Radiol. 2021 May;82(3):551-561. https://doi.org/10.3348/jksr.2021.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