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 경로 인터벤션 AV access intervention
투석 경로 인터벤션(AV access intervention)이란?
콩팥 기능이 저하된 말기 신부전환자들은 정기적으로 투석을 시행해야 합니다.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혈류를 확보하기 위해 동정맥루 수술을 통해 혈관 접근로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혈관 접근로를 반복하여 사용하다 보면 협착이나 폐쇄 등과 같은 기능부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수술 치료는 신체적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터벤션 시술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 치료를 시행해야 하나요?
정상적인 투석 접근로는 진음(thrill)이 느껴집니다. 이러한 진음이 약해지거나 박동이 느껴지면 투석혈관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또한 투석혈관이 군데 군데 커졌거나 바늘로 찔러도 피가 나오지 않고 팔이 붓거나 투석 후 지혈이 어려운 경우에도 빠르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초기에 치료를 한다면 간단한 인터벤션 시술로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지만 치료 시기를 놓친다면 시술이 길어지고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 할 수도 있습니다.
시술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혈관 접근로에 국소 마취 후 작은 절개를 합니다. 가는 도관을 삽입하여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내 폐쇄 혹은 협착부위를 찾습니다. 혈전이 차 있어 혈관이 막힌 상태라면 혈전 제거를 시행하고 좁아져 있는 부분에 풍선 성형술을 시행합니다. 상황에 따라 스텐트 삽입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혈관 조영술과 신체 진찰을 통해 원활히 투석이 진행 될 수 있음을 확인후 시술을 종료합니다.
시술 전후 주의할 사항이 있나요?
시술 전 6시간 전에는 금식이 필요합니다. 항응고제 또는 항혈전제를 복용 하고 있다면 의료진에게 미리 알려야 합니다. 시술 후에는 시술부위에 피가 나거나 부풀어 오르면 바로 의료진에 알려야 합니다. 시술 부위는 투석 받으시는 병원에서 드레싱 후 실밥을 제거하시면 됩니다. 동정맥루 부위 팔은 투석을 제외한 침습적 행위는 해서는 안됩니다.
Figure 1.A. 투석을 위한 혈관접근로의 유출 정맥 부위에 협착이 보인다. |
![]() |
중심 정맥관을 통한 투석
중심 정맥관을 통해 일정기간 투석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인터벤션 시술을 시행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정맥루 수술을 하고 나면 혈관이 성숙되고 난 뒤 혈관 접근로를 통해 투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자가 혈관인 경우 2-3개월 인조혈관인 경우 2-4주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한 기간에는 터널식 투석용 카테터(2-4개월 동안의 일시적 투석요법을 위한 도관)를 삽입하여 투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의 투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터널식 투석용 카테터를 삽입하여 투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중심정맥도관삽입술 (CVC/PICC/투석용카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