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메뉴
Login
Join
Contact Us
ENGLISH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중심정맥카테터삽입술   CVC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 투석용카테터


  영상유도로 시행하는 중심정맥카테터삽입술(central vein catheterization)은 안전하고, 실패율이 낮고, 시간 및 비용 효율이 높다는 것이 입증되어, 현재 인터벤션 영상의학에서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시술입니다. 중심정맥카테터는 주로 수술이나 응급상황에서의 수액공급, 혈액투석(hemodialysis), 혈장분리반출술(plasmapheresis), 화학요법(chemotherapy), 장기 항생제치료, 수혈, 총정맥 영양요법(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등에 사용되어 왔고, 안정성과 유용성이 입증되어 장기간동안 정맥확보가 필요한 환자나 중환자실 환자 등에게 반복적인 말초정맥관보다는 중심정맥카테터를 삽입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중심정맥카테터의 종류 및 분류

  사용기간에 따라 장기/단기 카테터, 용도에 따라 주입용/투석용용, 구조에 따라 터널형/비터널형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Table 1. 중심정맥카테터의 종류 및 분류

중심정맥카테터의 삽입 위치

  우리 몸의 피부 표면에서 가까이 위치하고 있고 비교적 직선 형태로 주행하며 크기도 초음파로 접근하기에 용이한 혈관을 대상으로 시술합니다.

  (1) 양측 목에 위치하고 있는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IJV)
  (2) 양측 쇄골뼈 아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액와정맥(axillary vein)이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3) 양측 팔에 위치하고 있는 자쪽피부정맥(basilic vein), 상완정맥(brachial vein), 노쪽피부정맥(cephalic vein)
  (4) 양측 사타구니에 위치하고 있는 총대퇴정맥(common femoral vein; CFV) 등입니다.

  앞서 언급한 카테터의 종류 및 직경에 따라 선호되는 혈관은 모두 다릅니다.
      - 내경정맥으로 주로 Simple CVC, Hickman, 투석용 카테터, 정맥포트 등이 삽입됩니다.
      - 액와정맥이나 쇄골하정맥으로 Simple CVC나 정맥포트 등이 주로 삽입될 수 있고,
      - 양측팔에 위치하고 있는 정맥으로 PICC 가 삽입됩니다.
      - 이외에도 양측 사타구니의 총대퇴정맥으로도 Simple CVC, 투석용 카테터 등이 흔히 삽입되며, 이 모든 혈관에 대한 선택권이 없는 경우에도 인터벤션 영상의학에서는 최대한 확보가능한 정맥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Figure 1. 중심정맥카테터의 삽입 위치들

카테터의 관리

  (1) 삽입 직후 : 시술부위에 모래주머니를 1-2시간 정도 올려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지혈의 목적이며 상황에 따라 의료진이 안내를 드릴 것입니다. 시술부 통증 지속(48시간 이상)이나 악화, 분비물의 증가, 충혈, 종창 등이 생긴다면 출혈, 감염, 카테터 손상 등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료진과 즉시 상담이 필요합니다.
  (2) 피부 절개 봉합사는 7~10일 후 제거하며 카테터 고정용 봉합사도 2~4주 사이에 제거합니다.
  (3) 삽입부 소독과 드레싱은 매우 중요합니다. 카테터 유발 균혈증(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tion; CRBSI)의 주요 원인 부위가 삽입부이기 때문입니다.
  (4) 관세척: 관세척의 목적은 관 내 혈전이나 약물 침전물이 쌓여서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매일 한 번씩 세척하는 것이 좋으며 무균적으로 처치해야합니다. 관세척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액은 100U/mL 헤파린 식염수이며 혈액투석 카테터의 경우 1000U/mL 헤파린 식염수를 사용합니다.
  (5) 카테터이 기능이상(흡인 불가 등)이 발생하면 즉시 담당 의료진과 상의해야합니다.





참고문헌
  1. 배재익, 중심정맥카테터삽입술, 인터벤션영상의학 2판,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