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메뉴
Login
Join
Contact Us
ENGLISH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역행성 경정맥 위 정맥류 폐색술   RTO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 for Gastric Varix); BRTO, PARTO, CARTO


개요

  문맥 고혈압(portal hypertension)은 간 실질로의 혈액 유입이 저항을 받으면서 발생한 문맥압의 비정상적인 상승과 이로인해 간으로 가지 못한 문맥혈류가 전신 정맥으로의 우회 측부혈류(문맥-전신 순환 측부혈류, portosystemic collateral)가 형성되면서 유발되는 증후군을 말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이 간경화(liver cirrhosis)입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합병증 중 하나가 정맥류 (varix) 형성이며, 문맥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맥류에는 식도정맥류, 위정맥류, 이소성정맥류 등이 있습니다.

  상승된 문맥압과 관련한 인터벤션 시술로는

  1. 상승된 문맥압 자체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는 시술: 문맥과 전신 정맥 사이에 감압을 위한 새 길(shunt)을 만드는 경정맥경유간내문맥전신순환션트(TIPS: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2. 문맥압으로 인해 발생된 정맥류를 막아 간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시술:
        a. 원심정맥(나오는 혈류, efferent vein)을 막고 경화제를 투입하는 역행성경정맥정맥류폐색술
        b. 구심정맥(들어가는 혈류, afferent vein)으로 접근하여 혈류를 차단하는 색전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문맥으로부터 형성된 정맥류들 중 하나인 위정맥류(gastric varix)를 인터벤션 영상의학적으로 치료하는 내용에 대하여 다룹니다.


시술방법

  RTO는 위정맥류의 유출경로인 gastrorenal shunt 를 우선 막아 빠른 혈류를 멈추게한 후, 역행적으로 경화제를 정맥류 내에 주입하여 정맥류 내부에 혈전 및 경화를 유도하는 시술입니다. 간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전신정맥체계로 우회하는 혈류를 차단하여 위정맥류에서의 출혈 가능성을 예방하고 간성뇌병증(hepatic encephalopathy)를 호전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역설적으로 우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문맥압을 더 증가시키게 되어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x)나 복수(ascites)를 악화시킬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Gastrorenal shunt를 막는 방법으로는 일시적 풍선 카테터 (BRTO, Balloon-), 영구적인 혈관 플러그 (PARTO, Plug Assisted-)나 코일 (CARTO, Coil Assisted-) 등이 있습니다. BRTO의 경우 주로 3% sodium tetradecyl sulfate, PARTO나 CARTO의 경우 gelatin sponge를 이용하여 정맥류를 폐색하여 혈전 생성을 유도합니다.


발생 가능한 합병증

  시술시 경한 복통, 구역, 구토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발열, 혈색소뇨증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호전됩니다. 문맥압 항진으로 인해 복수, 문맥 고혈압성 위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식도정맥류가 악화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gastrorenal shunt를 차단하는 도구의 이탈로 인해 폐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Figure 1. 역행성 경정맥 위정맥류 폐색술 (RTO: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 of Gastric Varix)

(A) BRTO, (B) PARTO, (C) CARTO

모두 원리는 같으나 원심정맥(나오는 혈류, efferent vein)인 위신정맥단락(gastrorenal shunt)을 막는 도구(각 그림의 화살표)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분류합니다. (A)의 경우 풍선 카테터 (Balloon), (B)의 경우 혈관 색전용 플러그 (Plug), (C)의 경우 혈관 색전용 코일 (Coil)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도구의 앞글자를 따 뒤에 -RTO를 붙이는 식으로 명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