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정맥혈전증 DVT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이란?
정맥은 심장의 운동에 의하여 분출된 혈액이 동맥을 통하여 온몸의 각 기관을 순환한 후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통로역할을 하는 순환기계의 중요한 기관입니다. 하지의 정맥에도 여러 가지 질환이 있으나 이중에 심부정맥혈전증이란 혈액이 응고된 혈전이 심부정맥 (deep vein)을 막아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심부 정맥 혈전증의 진단과 치료에 인터벤션 영상의학 시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치료가 필요한가?
심부 정맥 혈전증은 정맥을 완전히 막아서 혈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기 전에는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증상은 통증, 갑자기 붓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표재 정맥이 커져서 피부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피부가 붉은 혹은 파란색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또한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다리의 혈전이 떨어져 정맥을 타고 폐동맥에 도달하여 폐동맥 색전증을 일으키는데 숨이 가빠지거나 가슴에 통증을 일으키고 객혈을 유발하기도 하며 치명적으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 방법은?
심부 정맥 혈전증은 영상의학과 의사가 시행하는 정맥 조영술, 정맥의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 (CT) 등으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하여 혈전증의 여부를 확인하고 혈전의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정맥의 구조적인 이상도 미리 확인하여 치료 과정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은?
약물 치료(항응고제) 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부혈전의 양의 많거나 만약 정맥의 해부학적 패쇄가 있는 경우 효과가 제한적 입니다. 인터벤션 시술은 환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초음파를 보면서 오금 부위(무릎의 뒤쪽)의 정맥을 정확히 천자한 다음 혈전의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카테터를 정맥 내의 혈전에 삽입하여 혈전 용해제를 직접 투입하여 녹이거나, 흡입 제거술 또는 기계적 혈전제거술을 시행합니다. 추가적으로 정맥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여 정맥이 막혀있거나 좁아져 있는 부분에 풍선확장술 또는 스텐트를 삽입하여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로 인해 환자에게 약물로만 치료하는 것보다 빠른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치료 전 후에 주의해야 할 일은?
먼저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여 원인을 제거하고, 인터벤션 치료가 가능한 상태인지 환자 자신의 과거 병력에 대해 의사와 충분히 상담을 하여야 합니다. 치료 중에는 무릎을 굽히지 말고 치료부위의 출혈 여부를 관찰여야 하고, 스텐트를 넣은 경우는 6개월 정도의 항 혈소판 제재 복용을 권합니다.
통증, 합병증, 또는 부작용은 없나요?
통증은 거의 없으며 국소마취로 시술을 하게 되고 정맥 폐색이 심한 경우에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있더라도 이는 매우 일시적입니다. 모든 수술이나 시술에서와 마찬가지로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매우 드물고 대개는 저절로 소실됩니다.
Figure 1.심부정맥혈전증 환자에게 흡입/기계적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뒤 스텐트 삽입하였고 혈류가 회복되었음. 맨 우측은 흡인한 혈전. |
![]() |